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 지원금 신청방법 자격 대상

by 키팅샘 2025. 4. 18.
반응형

예술인을 위한 복지정책, ‘기회소득’이란?

‘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은 창작활동을 지속하기 어려운 예술인들에게 경제적 안정과 창작 시간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단순한 보조금이 아닌, 예술활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정당한 보상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입니다. 올해로 3년 차를 맞은 이 정책은 2025년에도 더 많은 예술인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됩니다.

 

2025 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 지원금 신청방법

  • 신청기간: 2025년 4월 21일(월) 오전 10시 ~ 5월 30일(금) 오후 6시
  • 신청방법:
    • 온라인: 경기민원24 홈페이지 접속 후 신청
    • 오프라인: 거주 시군의 문화예술부서에 직접 방문 접수 가능
  • 지급 시기: 1차(6~7월), 2차(9월) 총 2회에 걸쳐 계좌 입금
  • 지원금액: 총 150만 원 (각 75만 원씩 분할 지급)

 

지원 자격요건 및 대상자 기준

2025년 예술인 기회소득은 특정 조건을 충족한 예술인에 한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거주지: 경기도 28개 시군(※ 고양, 용인, 성남은 미참여)
  • 연령 기준: 만 19세 이상 성인
  • 예술활동 증명: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예술활동증명 유효자
  • 소득 조건: 보건복지부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의 개인소득 인정액 보유자

※ 주의: 동일 기간 내 예술활동 준비금 또는 타 기초생활지원금을 받는 경우 중복 수혜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회소득 수혜 시, 어떤 점이 달라질까?

2024년 기준 정책 분석에 따르면, 기회소득을 받은 예술인은 창작활동 시간이 증가하고, 심리적 안정감도 향상되는 등 삶의 질 향상을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음악, 미술, 문학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이 생계 부담에서 벗어나 보다 창의적인 작업에 몰입할 수 있었던 점이 큰 변화로 꼽혔습니다.

 

 

예술인 상설무대 및 문화확산 프로그램도 함께

경기도는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 예술인이 대중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상설 공연 및 전시 기회도 제공합니다. 오는 6월부터는 수원 경기아트센터와 의정부 경기평화광장에서 주말 상설무대가 운영되며, 공공미술관 전시, 북토크,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예술 장르의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될 예정입니다.

마무리하며

2025 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은 선정 인원 15,028명 규모로, 한정된 인원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 안에 서류를 준비해 놓고, 자격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신 후 접수하세요. 예술인의 창작을 지원하는 이 제도는 예술가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문화적 품격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주변에 해당 조건에 맞는 예술인이 있다면 내용을 공유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 글은 2025년 4월 기준으로 최신 정보를 반영한 콘텐츠입니다. 공식 정보는 경기민원24에서 확인해 주세요.

반응형